롯데의 음료들 중에서는
좋아하는 제품도 많이 있지만
뭔가 말장난 같은 광고나 마케팅
그리고 이상한 콜라보 등을
많이 해서 조금은 밉상스러운 면이 있는
있는 회사가 롯데칠성음료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롯데칠성음료에서도
좀 잘 됐으면 하는 제품이 있는데
바로 클라우드 맥주입니다
마셔 보면 나름 괜찮은 맥주이지만
맥주 시장에서는 제대로
기를 한 번도 못 펴는 건 물론이고
맥주도 아닌데 클라우드 이름을 달고
나오는 괴상망측한 제품들은
오히려 이미지만 더 안 좋아졌죠
얼마 전에는 좀 밀고 있던
클라우드 생드래프트가 단종되고
젊은 층을 겨냥해서 기본의 클라우드에
시원하고 청량감을 높인
클라우드 크러시가 출시 되었었는데요
그래도 개인적으로는 클라우드 오리지널에
비할 바는 아니었던 거 같습니다
특히나 맥주가 캔맥주보다 병맥주가
맛있다는 속설이 많은데요
개인적으로는 특히나 클라우드 오리지널에
그런 느낌을 많이 받았습니다
오늘은 클라우드 맥주 중에서
클라우드 오리지널 병맥주에 대해서
한 번 찌그려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시원하게 맥주 한 잔 하러 가요
클라우드오리지널 병맥주의 모습
많은 맥주들이 새로운 병 디자인이나
병 색깔을 바꾸는 등 다양한 변화를
꾀하고 있지만 그래서 그런지
클라우드는 오리지널이라는 이름처럼
여전히 옛날 갈색병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클라우드맥주의 마크는
큰 변함없이 그대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클라우드맥주가 프리미엄 맥주 느낌을
살리기 위해서 황금색을
포인트 컬러로 사용하기 때문에
뚜껑 부분도 황금색입니다
전체적인 황금색의 톤이나
라벨 디자인의 분위기가
오히려 예전 갈색병과
더 잘 어울리는 듯 합니다
좀 더 클래식한 느낌도 나구요
아래쪽에 보면 OG라고 적힌 마크와
오리지널 그래비티라는 문구가 보입니다
클라우드 맥주 같은 경우는
예전부터 물 타지 않은 맥주라는
컨셉으로 진하고 고소하면서
쌉쌀한 맛을 지향하고 있는데요
오리지널이라는 이름은
오리지널 그래비티라는 뜻도
가지고 있습니다
보통 라거맥주에서는 하이그래비티라는
공법을 많이 사용하는데
원래 맥즙을 만들고 나서
뒤에 물로 맛이나 도수를 조절하는데
클라우드는 맥즙을 발효할 때
물로 조절하고 난 뒤 제조과정에서는
물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오리지널그래비티 방식의 제조 과정이
더 까다롭지만 더 깊은 맛을
느낄 수 있다고 합니다
클라우드 오리지널 병맥주의
라벨입니다
클라우드 오리지널 병맥주의
알콜도수는 5% 용량은 500ml입니다
클라우드맥주를 잔에 부어 봤습니다
맑은 황금색 빛깔에
거품이 부드럽게 올라오비다
역시나 시원하게 마시면 좋은
클라우드 맥주입니다
클라우드는 특유의 꼬소한 맛이
맥주 맛의 전반에 나타납니다
따로 곡물을 더 넣은 것도 아닌데
우리나라 다른 맥주 제조사의 맥주와
약간 결이 다른 거 같아요
꼬숩하면서도 바디감이 좀 있고
쌉쌀한 맛으로 마무리 되는 맛이 좋습니다
라거 맥주스럽게 탄산감이나
청량감도 괜찮은 편이지만
우리나라 맥주 치고 맛이 그나마
다층적인 맥주라 할 수 있습니다
특히 병맥으로 마시니 이런 장점들이
더 드러나는 것 같았어요
맛있게 마신 한 병이었습니다
오늘은 부드럽고 고소한 풍미와
쌉쌀한 맛이 매력적인 국산맥주
클라우드 오리지널 병맥주를 소개했습니다
캔맥주도 맛있게 먹는 맥주 중 하나지만
확실히 병맥주가 좀 더 매력적이었습니다
차갑게 되는 정도와 부어 마시면서
공기와 마찰 되는 부분이 아무래도
맛의 차이를 만들어 내는 듯 합니다
마트에서 클라우드 병맥주 보게 되면
한 번 마셔 보길 추천하면서
오늘의 포스팅 정리합니다
또 맛난 술로 돌아올게요
클라우드 병맥주 요약 및 정리
▷ 제조 : 롯데칠성음료
▷ 종류 : 라거 맥주
▷ 알콜도수 5% 용량 500ml
▷ 오리지널 그래비티 공법으로 제조
▷ 부드러운 첫 맛
▷ 고소한 곡물의 맛고 풍미가 있음
▷ 진하면서도 쌉쌀한 맥주의 홉맛
▷ 국산 맥주들과 조금 다른 결
▷ 병맥주 버전이 맛의 특징이 더 도드라짐
롯데칠성음료 술 관련 포스팅
클라우드 캔맥주
<술술리뷰#102> 괜찮은 국산 맥주 '클라우드' 와 신제품 '클라우드 생 드래프트' 마셔봤습니다
오랜만에 냉장고에 맥주가 비어서 맥주를 사러 마트로 향했습니다 주류 코너를 가보니 우리나라 맥주 중에 이름은 클라우드인데 뭔가 다른 디자인이 있길래 보니까 새로나온 클라우드 생 드래
bwolf08.tistory.com
순하리 레몬진 9%
<술술리뷰#308> 상큼한 레몬 사와 감성, 레몬진의 완성판 '순하리 레몬진9%'
오늘의 술술리뷰는 레몬주 하나를 가지고 왔습니다이제는 국내도 인지도를 탄탄하게 다진롯데칠성음료의 레몬진입니다처음에는 알콜도수 4.5로 시작해서7% 제품이 출시되었고 이제는 9%제품
bwolf08.tistory.com
클라우드크러시
<술술리뷰#295> 깔끔 상쾌한 차갑게 마시기 좋은 라거 맥주 '클라우드 크러시'
요즘은 국산 맥주도 워낙 경쟁이 심하다 보니 회사의 대표 맥주들을 띄우기에 여념이 없습니다 오비맥주의 카스는 여전히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고하이트진로 같은 경우는 하이
bwolf08.tistory.com
순하리 레몬진 7%
<술술리뷰#242> 좀 더 진한 맛의 레몬사와를 원한다면 '순하리 레몬진 7%'
요즘 주류업계는 다양한 맛을 첨가한 술들의 전성시대입니다 이미 미국이나 유럽, 일본 등에서는 스프리처, 하드셀처, 하이볼, 레디투드링크 등 다양한 이름으로 술이나 음료 등 맛이 섞인 섞음
bwolf08.tistory.com
순하리 레몬진 4.5%
<술술리뷰#198> 상큼하고 청량한 사와 느낌의 레몬맛 탄산 과실주 '순하리 레몬진(레몬津)'
요즘은 저도수나 무알콜 술의 전성시대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냥 도수만 줄이면 닝닝하거나 맛이 없어지기 마련이기 때문에 다양한 맛을 추가하거나 첨가물을 넣기도 하는데요 해외에서는
bwolf08.tistory.com
새로 소주
<술술리뷰#167> 20대를 겨냥한 트랜드의 제로슈거 소주 '처음처럼 새로'
오늘의 술술리뷰는 요즘 핫하다는 희석식소주 처음처럼에서 신제품으로 출시한 처음처럼 새로를 가지고 왔습니다 22년 9월 혜성처럼 등장해서 많은 사랑은 받고 있는 술인데요 요즘 트랜드에
bwolf08.tistory.com
처음처럼16.5, 처음처럼진 플라스틱병
<술술리뷰#150> 플라스틱 병으로 리뉴얼 된 처음처럼 소주 두가지 '처음처럼 16.5, 처음처럼 진(津)'
증류식 소주의 인기가 점점 올라가고 있는 요즘 그러다 보니 예전보다 희석식 소주의 판매량이 줄어들었다고 하는데요 그래서 그런지 요즘 소주들은 좀 더 정돈되고 디자인도 더 깔끔하게 바꾸
bwolf08.tistory.com
클라우드 칠성사이다맥주
<술술리뷰#137> 맥주와 탄산음료의 괴상한 혼종 '클라우드 칠성사이다 맥주'
술술리뷰로 돌아왔습니다 요즘 기존 주류회사에서 회사의 대표적인 주류 상품들과 다른 제품 간의 콜라보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데요 오늘은 그 중에서 맥주와 사이다가 콜라보한 클라우드사
bwolf08.tistory.com
처음처럼 꿀주
<술술리뷰#130> 진짜 꿀향과 꿀맛이 나는 달콤한 소주 '처음처럼 꿀주'
예전에는 소맥 하면 두가지 버전 대학생 때나 20대에는 맥주를 많이 넣어 먹는 버전을 많이 먹고 사회에 나와서는 딱 한 입에 털어 먹는 버전으로 소맥을 먹었는데요 요즘에는 이걸 역으로 넣어
bwolf08.tistory.com
클라우드 하드셀처 망고
<술술리뷰#165> 시류에 편승한 저칼로리 저도수 저퀄리티 망고맛 탄산주 '클라우드 하드셀처 망고
요즘 주류계의 트랜드 중 하나인 저도수의 술들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 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원래 술을 즐기던 사람들이야 이게 술이야 하는 생각이 있지만 원래 술을 잘 못 먹던 사람들도 즐
bwolf08.tistory.com
'메뉴리뷰 > 애주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술술리뷰#330> 깔끔하고 고소한 청량감 좋은 일본맥주 '삿포로 프리미엄 생맥주' (0) | 2025.02.10 |
---|---|
<술술리뷰#329> 옛 감성을 지닌 경북 경산의 쌀막걸리 '남천생 쌀막걸리' (0) | 2025.02.07 |
<술술리뷰#328> 달콤한 파인애플맛 헤페하이젠 '쉐퍼호퍼 파인애플' (1) | 2025.02.03 |
<술술리뷰#327> 라벨 디자인만 다르고 똑같아요 '참이슬 후레쉬 오징어게임 에디션' (0) | 2025.01.31 |
<술술리뷰#326> 독일맥주 판매량 1위 독일 대표 라이트 필스너 맥주 '크롬바커 필스 (Krombacher Pils)' (0) | 2025.01.30 |